본문 바로가기

HD한국조선해양 주가, 수주 대호황 속 중장기 투자 타이밍은 지금?

lifenknowledge 2025. 8. 28.

LNG·LPG 고부가 선박 수주 확대…흑자 전환 후 주가 탄력 받을까?

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수년간 적자에서 벗어나며 본격적인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한 조선업 대표주입니다. 2023년 영업흑자 전환 이후 2025년에는 전년 대비 33% 이상 증가한 수주 목표를 설정하며, 글로벌 친환경 선박 수요 확대와 함께 강한 성장 모멘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국, 인도, 모로코 등과의 전략적 조선 협력도 이어지며 단기 주가 상승세에 힘을 보태고 있으며, 중장기적인 투자 매력도 점점 강화되고 있습니다.


실적 턴어라운드, 진짜 끝났나?

2021년부터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던 HD한국조선해양은 2023년 드디어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11.96조 원의 매출에 1,786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면서 수익성 기반이 생긴 것이죠. 특히 수주잔고가 풍부한 점이 향후 2~3년간의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담보해줍니다.

2025년 수주 목표는 180.5억 달러로 역대 최고 수준이며, 이를 통해 매출 13~14조 원 돌파도 현실화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최근 주가 흐름은? 상승세 전환 중

2024년 8월 28일 기준 시가는 488,000원이었으며, 2025년 8월 28일 종가는 521,000원으로 6.06% 상승했습니다.

이동평균선 기준으로도 50일선(502,000원)을 상회하고 있어, 단기 상승 추세가 유효한 상태입니다.

대형 호재가 발생할 경우 기술적 저항선 돌파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조선업 강세 이유는 ‘친환경 고부가 선박’

HD한국조선해양은 일반 선박보다 수익성이 높은 LNG·LPG 운반선, 암모니아 추진선, 이중연료 엔진 탑재 선박 등 친환경 중심의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마진 선박 비중 확대는 향후 실적 레버리지를 더욱 강화시킬 전망입니다. 특히 한국 조선업의 글로벌 점유율이 최근 25.1%까지 상승했다는 점은 경쟁력 회복의 증거이기도 하죠.

 


수주 동향과 해외 확장 움직임

HD한국조선해양은 미국과 공동으로 추진 중인 MASGA(Maritime Advanced Shipbuilding Global Alliance) 프로젝트를 통해 글로벌 협력 수주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인도, 모로코와도 조선기술 협력을 맺으며, 중동·남아시아 시장 확장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대형 발주 소식이 있을 때마다 주가 급등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트레이딩 전략에도 적합합니다.


리스크 요인도 명확히 확인하자

리스크 항목  내용
후판 가격 상승 조선 원가의 약 20~30%를 차지하는 후판 가격 변동 위험
글로벌 경기 둔화 해운 수요 감소 시 신규 선박 발주량 축소 가능성
환율 변동 수주 대금 대부분이 달러 기준으로, 원화 환산 시 손익 변동 가능성

 

위 리스크들은 단기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분기별 실적 발표와 함께 체크해야 할 요소입니다.


재무 실적 요약으로 보는 흐름 변화

 

연도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2021 8.31조 –8,002억 –8,142억
2022 9.05조 –2,891억 –352억
2023 11.96조 1,786억 24.7억

 

2023년 흑자 전환은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의 결과이며, 2025년에는 이익률 개선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 전략: 중장기 우상향을 노린다면?

  • 단기 투자자: 50일, 200일 이동평균선 지지를 기반으로 뉴스 트레이딩 전략 활용
  • 중장기 투자자: 수주잔고 확대, 신조선 가격지수 상승 여부 등을 관찰하며 매수 비중 확대 전략 추천

특히 2025년 4분기부터는 신조선 인도량이 본격화되므로, 이익 반영 시점은 2026년부터가 될 수 있다는 점도 투자 포인트입니다.

 


고부가 선박, 수주잔고, 글로벌 협력의 3박자

HD한국조선해양의 핵심 투자 포인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

 

구분  내용
수주 전략 LNG·LPG 운반선 중심의 고마진 선박에 집중
글로벌 확장 미국·인도·모로코 등 협력 강화, 수출국 다변화 중
실적 모멘텀 2023년 흑자 전환 후, 2025~2026년 본격적인 실적 개선 예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