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가켐바이오 주가 전망, ADC 기술로 16만 원 목표 간다?
글로벌 기술이전·흑자 전환…이제는 진짜 성장 궤도?
리가켐바이오는 항체-약물 접합체(ADC) 시장에서
독자 플랫폼을 통해 괄목할 만한 글로벌 기술수출 실적을
쌓아올리며 국내 대표 바이오텍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2024년 사상 최대 매출과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서
본격적인 밸류에이션 재평가 기대가 커지고 있죠.
평균 목표주가(160,000원)까지 약 32%의 상승 여력이
남아 있는 만큼, 투자자들의 관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4년 사상 최대 실적…흑자 전환으로 신뢰 회복
리가켐바이오는 2024년 매출 1,25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69% 급증하며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순이익도 78억 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죠.
얀센·오노약품과 체결한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에서
마일스톤이 본격적으로 유입된 결과입니다.
지표 2023년 2024년 변화율
매출액 | 341억 원 | 1,259억 원 | +269% |
영업이익 | -315억 원 | -209억 원 | 적자 축소 |
순이익 | -58억 원 | 78억 원 | 흑자 전환 |
올해 1분기에도 매출 516억 원, 영업이익 114억 원을
기록하며 실적 모멘텀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ADC 플랫폼 ‘ConjuALL’로 글로벌 기술수출 선도
리가켐바이오의 가장 큰 경쟁력은
독자 개발한 ADC 플랫폼 기술 ‘ConjuALL’에 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개발한 LCB84, LCB14, LCB97 등
주요 파이프라인이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연이어 성사시키며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고 있죠.
파이프라인 적응증/타겟 주요 이벤트
LCB84 (TROP2) | 고형암 | 얀센에 2.2조원 규모 기술이전 |
LCB14 (HER2) | 유방암 등 | 포순제약·익수다에 기술이전, 2026년 상업화 기대 |
LCB97 (L1CAM) | 난소암 등 | 오노약품에 9,436억 원 규모 기술이전 |
이처럼 선도 파이프라인들의 글로벌 임상과
추가 마일스톤 유입 기대감이
중장기 투자 스토리를 강하게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2025년 실적 기대…매출 2,050억·순익 120억 전망
증권가에서는 리가켐바이오가
2025년에도 매출 2,050억 원(+63%)을 달성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영업적자는 다소 남겠지만(-80억 원),
순이익은 120억 원으로 흑자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글로벌 ADC 시장 성장 수혜…2028년 280억 달러 전망
ADC 시장 자체가 빠르게 커지는 것도 호재입니다.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8년 28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바이엘·로슈·애브비 등 글로벌 빅파마들도
시장 선점을 위해 기술 확보에 집중하고 있죠.
이 흐름에서 리가켐바이오의
기술 플랫폼 가치도 재평가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 포인트: 추가 마일스톤 유입·삼성바이오 협업
단기적으로는 얀센(J&J)의 LCB84 단독개발 옵션
행사 여부가 중요한 촉매가 될 전망입니다.
옵션이 행사될 경우 약 2,600억 원 규모의
추가 마일스톤 수령이 가능하죠.
또 삼성바이오로직스와 ADC CMO(위탁생산) 협업을
본격화하며 연내 최소 3건 이상의
ADC 프로젝트에서 공동 개발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리스크: 임상 결과·대규모 R&D 부담은 주의
바이오 종목 특성상 임상 리스크는 피할 수 없습니다.
후기 임상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온다면
주가에 즉각적으로 충격이 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리가켐바이오는 2025년 R&D에만
2,000억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인데,
이는 단기적으로 영업적자를 이어갈 수 있는
부담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결론: 목표주가 16만 원까지 약 +32%, 중장기 관점 유효
현재 리가켐바이오 주가는 약 121,400원 수준이며,
증권사 평균 목표주가인 160,000원까지는
약 32%의 상승 여력이 남아 있습니다.
ADC 플랫폼 경쟁력과 잇따른
글로벌 기술이전, 흑자 전환으로 인한 신뢰 회복을 감안하면
중장기 관점에서 여전히 매력적인 종목으로 평가됩니다.
다만 바이오 업종 특유의
임상 및 투자 리스크가 상존하기 때문에
단기 급등을 기대하기보다는
중장기적인 파이프라인 모멘텀을 보고
분할 매수로 접근하는 전략이 더욱 유효해 보입니다.
'추천주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모비스 주가 전망, 12% 상승 여력과 전장 모멘텀 주목 (0) | 2025.07.14 |
---|---|
현대차 주가 전망, 신차 모멘텀 속 26만원 재도전? (0) | 2025.07.14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 전망, 방산 호황에 날개 달았다 (6) | 2025.06.09 |
쿠콘 주가 전망 분석: 디지털 금융 생태계의 핵심 축으로 부상한 이유 (3) | 2025.06.09 |
2025 미용의료기기 관련주 총정리|에이피알, 클래시스, 비올 등 유망 종목 분석 (3) | 2025.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