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K하이닉스 주가 전망 2025, ‘10조 클럽’ 돌파로 어디까지 갈까?

lifenknowledge 2025. 9. 29.

HBM 독주 체제 속 실적 폭발… 주가 얼마나 오를 수 있을까?


SK하이닉스는 2025년 2분기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시장의 기대를 또 한 번 뛰어넘었습니다. 3분기에도 분기 영업이익 10조원 돌파가 유력해지면서 증권사들은 앞다투어 목표주가를 44만~48만원까지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특히 HBM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와 함께 범용 메모리 가격 상승, 신규 팹 가동 등 다수의 성장 모멘텀이 겹치며 장기적인 주가 상승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분기 영업이익 10조 돌파… 전례 없는 실적 속도

2025년 2분기, SK하이닉스는 매출 22조 2320억원, 영업이익 9조 2129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KB증권과 IBK투자증권 등은 3분기 영업이익이 1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단일 분기 기준으로 최초입니다. 매출 증가율도 전분기 대비 최대 10.2%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연간 실적이 50조원대 영업이익까지 가능하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증권가 목표주가 일제히 상향

최근 증권사들은 SK하이닉스의 실적 개선 흐름에 주목하며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했습니다.

증권사  기존 목표가  신규 목표가  발표 시점
한화투자증권 36만원 44만원 2025.09
KB증권 34만원 46만원 2025.09
IBK투자증권 36만원 45만원 2025.09
SK증권 30만원 48만원 2025.09
맥쿼리 - 36만원 2025.09

시장에서는 2027년까지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이 90조원에 달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어 중장기 주가 상승 여력도 충분히 뒷받침되고 있습니다.

 


HBM4 양산 본격화, 독점 지위 강화

SK하이닉스는 2025년 2분기 기준 HBM 시장에서 점유율 62%로 글로벌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마이크론(21%), 삼성전자(17%)를 크게 앞서고 있습니다.

특히 HBM4를 세계 최초로 개발 완료하고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가속기 ‘루빈’에 채택될 예정이며, 대역폭과 전력 효율 면에서 기존 HBM3를 압도합니다.


SK하이닉스의 주요 성장 동력

2025년 하반기, SK하이닉스는 세 가지 주요 성장 축을 기반으로 실적을 끌어올릴 예정입니다.

1. HBM 매출 비중 급등

HBM 제품은 전체 DRAM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분기 30%에서 4분기 40%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HBM3E 출하 비중도 2025년 89%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범용 메모리 가격 급등

DDR4의 생산 중단 발표 이후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8Gb DDR4는 두 달 새 50% 이상 급등했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모두 DRAM과 NAND 가격을 4분기부터 최대 30% 인상할 계획입니다.

3. M15X 신규 팹 가동

청주 M15X 신규 반도체 공장이 2025년 말부터 본격 가동됩니다. 이는 HBM4의 대량 양산을 가능케 해 향후 공급 능력과 수익성 확대의 핵심 인프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리스크도 잊지 말자

호재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몇 가지 리스크 요인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삼성·마이크론의 추격

삼성전자는 2025년 4분기부터 HBM3E를 엔비디아에 납품할 예정이며, 마이크론 역시 공급처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경쟁 심화는 수익성에 압박이 될 수 있습니다.

2. 지정학적 리스크

미중 기술 갈등, 반도체 수출 규제 등 외부 리스크는 언제든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입니다.

3. AI 수요 둔화 가능성

일부에서는 AI 반도체 수요가 정점을 지나고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여전히 공급 부족이 이어질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종합 투자 판단: 지금이 진입 타이밍일까?

SK하이닉스는 실적, 기술력, 시장 지위, 성장 전망 모두에서 전례 없는 호재들이 결집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분기 영업이익 10~12조원 시대의 서막이 열리며, 증권사 목표주가가 줄줄이 44~48만원으로 상향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현재 주가가 이 목표가에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면, 장기적 관점에서 ‘분할 매수’ 전략을 고려할 만한 타이밍으로 판단됩니다.


주요 지표 요약

 

항목  수치
2Q25 영업이익 9조 2129억원
3Q25 영업이익 전망 11조원
HBM 시장 점유율 62% (세계 1위)
목표주가 범위 44만원 ~ 48만원
PER 약 11배
배당수익률 약 1.5% (2025 기준)

결론

‘실적과 기술력’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SK하이닉스. HBM4를 시작으로 다시 한 번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을 쥐고, 지금보다 더 높은 레벨로 올라설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현재는 ‘기회’일 수 있습니다.

댓글